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격심리학: MBTI에 대하여

by 안개속의 풍경 2023. 10. 30.

MBTI란?

MBTI는 캐서린 브릭스와 이자벨 마이어스가 칼 융(Carl Jung)의 성격유형론에 근거하여 개발한 성격검사이다. 마이어스-브릭스 선호지표 (Myer-Briggs Type Indicator)는 개인이 지닌 성격의 선호 경향을 일상생활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한 자기 보고식 성격유형지표이다. 각각의 선호 경향에 따라 나타나는 지표를 조합해서 심리치료, 교육, 인사관리, 인력개발 등에서도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MBTI의 선호지표

 MBTI의 선호지표는 서로 대조되는 지표 2가지씩 한 차원으로 묶어 총 4가지 차원을 구성한다. 네 가지 성격차원 중 어디에 속하는지에 따라 성격 유형을 구분할 수 있다. 

선호지표 성격의 선호 경향 선호지표
외향(Extraversion) 에너지의 방향이 외부인가? 주의초점 에너지의 방향이 내부인가? 내향(Introversion)
감각(Sensing) 구체적 자료에 근거하는가? 인식기능 직관적 판단에 근거하는가? 직관(Intuition)
사고(Thinking) 판단의 기준이 사고인가? 판단기능 판단의 기준이 감정인가? 감정(Feeling)
판단(Judging) 가치판단적인가? 생활양식 사실수용적인가? 인식(Perceiving)

 MBTI로 평가되는 16가지 성격유형

MBTI는 4개의 척도가 양 극의 두 가지 성격특성을 반영하므로 인간의 성격은 총 16가지의 성격유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각 척도의 알파벳 이니셜을 따서 네 글자로 지칭된다. 요즘은 유행처럼 자신의 MBTI를 검사해서 자신의 성격을 스스로 확인하고, 친한 친구끼리도 서로의 MBTI를 통해서 "나는 네가 I 일 줄 알았어." 혹은 "너 T야?"라고 묻는 게 흔하다. 다음 표에 16가지 성격유형의 조합과 특징을 설명했다. 

  감각/사고 감각/감정 직관/감정 직관/사고
내향/판단 ISTJ     조사관형 ISFJ   보호자형 INFJ   상담자형 INTJ   과학자형
세밀성
원칙준수
논리성
책임감
성실성
현동성
온화함
설득력
통찰력
분석력
통합력
비전제시력
내향/인식 ISTP  기술자형 ISFP  작가형 INFP  치유자형 INTP   건축가형
구체성
논리성
융통성
감성적
현실성
상상력
온화함
수용적
이타성
도전의식
상상력
문제해결력
외향/인식 ESTP  촉진자형 ESFP  연주자형 ENFP  투사형 ENTP   발명가형
활동성
현실성
유연성
활동성
통합력
우호성
도전의식
개혁성
활동성
도전의식
상상력
추진력
외향/판단 ESTJ  사업가형 ESFJ  봉사자형 ENFJ  교사형 ENTJ   지도자형
도전의식
실용성
현실성
친절함
현실성
배려정신
온화함
설득력
협동성
비전제시력
설득력
활동성

 성격유형 구분에 대한 심리적 현상

  요즘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MBTI 검사를 해 본 적이 있다. 재미있는 현상은 자신이 솔직하게 반응하여 I (내향인)의 결과를 얻었는데, 주변인들은 나를 E(외향인)으로 여기고 있어서 놀라거나,  여러 차례 검사를 할 때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거나, 혹은 검사결과에 내 자신의 성격을 맞추려고 노력하는 경우도 생긴다는 것이다. 그래서 몇몇 사람들은 MBTI를 묻고, 그 결과에 따라 자신을 이해하려는 사람을 만나면 예전의 혈액형 성격설 (ㅇ혈액형 B형 남자는..... 하다)에 비유하면서 거부하기도 한다.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면 보통 사람이 위 4가지 영역에서 늘 양 극단의 것일 가능성은 별로 없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보편적으로 적용되는 성격 특성이 자신과 일치한다는 믿음을 고수할까? 여기에도 심리적인 이유가 있다.

  -바넘효과 (Banum Effect)

  바넘은 19세기에 사람들을 잘 속였던 서커스 단원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바넘은 자신이 속임수를 쓸 때마다 "매번 바보나 멍청이들이 생긴다."라는 말로, 자세한 탐색 없이 어떤 것을 받아들이거나 믿어버리는 어리석은 사람들을 지적했다. 즉 사람들은 인간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애매하고 일반적인 진술을 자신만의 고유한 성격 특성이라고 받아들이고 믿는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성격검사의 결과뿐만 아니라, 점성술, 종교적 예언 등 근거가 부족한 주장도 쉽게 믿기도 한다. 

-주관적 타당화

 이는 전혀 관련 없는 두 가지 사건에 대해서 개인이 자신의 신념이나 기대에 근거해 두 사건을 서로 관련 있는 사건으로 잘못 인식하는 현상이다. 이 경우 객관적 증거에 근거하기보다 순전히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타당성을 믿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믿음과 일치하는 현상에는 선택적 주의를 기울이고, 그렇지 않은 현상은 무시하는 확증편향과도 연결되어 있다. 먼저 자리 잡은 믿음과 반증되는 사실은 인지부조화를 피하기 위해 그 사실을 외면하거나 중요도를 저평가하기도 한다. 잘못된 믿음은 이런 여러 가지 심리적 기제에 의해 더욱더 견고해질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