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사회심리학: Higgins의 자기 불일치 이론

by 안개속의 풍경 2023. 10. 24.

Higgins의 자기 불일치 이론

Higgins는 자기 불일치 이론에서 인간이 자기를 인지할 때 현실적 자기,  이상적 자기,  당위적 자기로 구분하며,  이들 간의 차이 즉 불일치가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만든다고 가정한다.  이때의 현실적 자기는 현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속성,  즉 자신의 지금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이상적 자기는 자신이 소망하는 속성,  즉 자신의 개인적 포부나 이상,  희망을 말한다.  당위적 자기는 자신이 반드시 가지고 있거나 없어야 하는 속성에 관한 것,  의무나 책임을 말한다.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현실적 자기는 이상적 자기나 당위적 자기와 차이,  즉 불일치가 존재하고, 이러한 차이를 자신의 입장에서 평가하거나 다른 사람의 시각에서 평가하면서 다양한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고 한다.

자기 불일치가 발생한 A의 수치심 사례

A는 12 년 전에 지인이 더 이상 키울 수 없게 된 개와 인연을 맺어 한 가족으로 살아오고 있다. 이제는 노견이 된 개 토리는 2 년 전부터 심장병을 앓아오고 있다. 이 병은 완치는 되지 않고, 발병부터 죽을 때까지 약을 꾸준히 먹으며 관리를 해서 개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것이 최선이다. 해서 A는 토리에게 하루에 두 번씩 약을 먹이고 있다. 그런데 이 심장약의 맛이 고약해서 토리는 물약을 삼키지 않고 내뱉기 일쑤였다. 약을 정량대로 복용하지 않으면 상태가 바로 나빠져서 기침을 하거나 호흡이 가빠지는 등 걱정스러운 상황이 생겼다. 토리를 오랫동안 담당해 온 수의사는 알약으로 바꿔서 복용시킬 것을 권했다. 이것이 사건의 시발점이었다. 알약을 토리의 입 속으로 집어넣는데, 토리의 저항이 심해서 알약은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았고 , 토리는 이빨로 캡슐을 씹어서 알약 3 개를 터트렸다. 그리고 4 번째 알약을 넣으려고 시도하던 A의 손가락을 세게 물었다. 순간 A는 너무 화가 나서 있는 힘껏 토리의 등을 때렸다. 그러고도 화가 풀리지 않아 두 대 정도를 더 때렸다. 이런 무서운 폭력을 처음 당해본 토리는 덜덜 떨다가 겁에 질려 숨을 곳을 찾아 천천히 걸어갔다. A는 자신이 보호해야 할 대상을 폭력으로 두려움에 떨게 했다는 상황을 인지했을 때 수치심과 죄책감이 온몸을 휩쓸었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토리의 옆에 주저앉아 버렸다.

 

A의 사례에서 발생한 자기 불일치 분석

A가 그날 그렇게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던 것은 Higgins 가 말한 자기 불일치가 A에게 발생했기 때문이었다. 먼저 A가 인식하는 A의 자기 (self)를 구조화해 보겠다. 다음 표에서 보면 A의 현실적 자기, 이상적 자기, 당위적 자기 사이에 불일치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실적 자기 A는 강아지를 사랑하지만, 강아지가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자, 엄청난 분노를 표출하며 폭력을 행사했다 .
이상적 자기 A는 항상 동물의 권리를 보호하는 사람이 될 것이며, 언젠가  동물보호단체 시민활동가가 될 것이다 .
당위적 자기 A는 어떤 경우에도 자신보다 약한 사람과 동물에게 폭력을 행사해서는 안되며, 그들을 보호해야 한다 .

썸네일: 한 여성의 얼굴이 세 조각으로 나뉘어 있는 모습

다음은 Higgins의 자기 불일치 이론에 존재하는 불일치 유형의 도표이다.  현실적 자기와 이상적 자기 사이에 긍정적 결과가 없어서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A는 실망, 좌절, 우울감 등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되었다. 또 현실적 자기와 당위적 자기 사이에 부정적 결과가 존재함으로써 발생한 불일치의 경우에는 죄책감과 자기 비하의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불일치 유형 현실적 자기 - 이상적 자기 현실적 자기 - 당위적 자기
불일치의 근원 긍정적 결과의 부재 부정적 결과의 존재
평가 관점 자신 타인 자신 타인
경험 정서 실망, 좌절, 우울 수치심, 당혹감, 의기소침 죄책감, 자기비하 두려움, 위협감, 공포

 

A의 수치심을 자기 불일치 유형 도표에 적용시킨 평가

불일치 유형 현실적 자기 - 이상적 자기 현실적 자기 - 당위적 자기
불일치의 근원 A는 훌륭한 동물보호 활동가가 되고 싶은데, 정작 자신의 아픈 개를 제대로 지켜주지도 못했다 . A는 자신보다 약한 동물에게 분노에 휩싸인 폭력을 가해 그들을 두렵게 만들었다 .
평가 관점 자신 타인 자신 타인
경험 정서 A의 못난 모습에 실망했고, 활동가가 될 수 없을 것만 같아 좌절감을 느꼈다 . 늘 자신보다 약한 동물을 지켜줘야 한다고 가르쳐왔던 자녀가 이런 모습을 보고 존경을 상실했을 것 같아 수치스럽다 . 병에 걸려 아프기 까지 한 자신의 개에게 폭력을 행사한  자신이 형편없는 인간같아 자기 비하감이 들고, 개에게 너무 미안해서 죄책감이 든다 . 그 동안 쌓아온 신뢰와 사랑으로 자신을 믿고 따르는 개가 이번 일로 자신을 피하고 약먹기를 더더욱 거부할까봐 두렵다 .

 

자기 불일치의 부정적 감정을 줄이기 위한 조치

다음은 A가 이 불일치로 인한 부정적 감정을 줄이기 위해 취한 조치사항들이다. 먼저 자신의 부족한 현실적 자기로 인해 힘들었을 개 토리 에게 진심의 사과를 했다. 그리고 이상적 자기, 즉 동물보호단체 활동가가 되기 위해 자신의 감정조절이 얼마나 중요한지 배울 수 있는 계기로 삼았다. 당위적 자기를 더욱 잘 지켜나가기 위해서도 스스로 분노조절의 중요성은 물론 폭력의 위악성에 대해 더욱 자기 인식을 철저히 다지는 계기로 삼았다. 그리고 강아지에게 알약 먹이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검색을 통해 알아보았다.  알약 먹은 직후의 간식 급여로 '강화'시켜 토리는 약을 잘 먹는다.